지진행동요령 3

도시 지하철과 지진, 터널은 안전한가?

지하철이라는 현대 도시의 혈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일상은 지하철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출근과 퇴근, 학생들의 등교와 시민들의 이동까지 하루 수백만 명이 지하 수십 미터 아래로 이동한다. 지하철은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다. 현대 도시를 구성하는 핵심 인프라이며, 도시의 ‘혈관’에 해당하는 구조다. 하지만 우리는 자주 묻지 않는다.지하철이 지진에 안전한가? 지하 수십 미터를 달리는 열차 안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최근 세계 각국에서 발생한 강진 사례들을 살펴보면, 지하철과 같은 지하 구조물 역시 지진에 절대 안전하지 않다는 점이 드러나고 있다. 지진이 건물과 도로뿐만 아니라, 지하 인프라 전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되어야 한다. 터널은 지진에 강한가, 약..

지진학 2025.07.15

지진 나면 대피는 어디로? 실내·실외 대피소 완벽 정리

지진은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진동이 시작되는 순간, 어디로 가야 할지 판단하지 못한다면 위험은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지진처럼 순식간에 주변 환경이 위험요소로 바뀌는 재난 상황에서는 '어디로 대피할지'에 대한 정보와 준비가 생존률을 결정짓는 핵심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지진 발생 시 실내와 실외에서의 대피 요령, 정부가 지정한 공식 지진 대피소의 종류와 위치 확인 방법, 그리고 우리 가족이 실천할 수 있는 지진 대비 체크리스트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대피가 늦으면 더 위험하다지진 발생 시 많은 사람들이 당황해 무작정 건물 밖으로 뛰어나가는 실수를 범합니다.하지만 이는 오히려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외부에는 건물 외벽, 간판, 유리창 파편 등이 떨어질 수 있고, 자동차, 전신주, 가로..

지진학 2025.07.03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생존을 위한 대처법은?

지진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대표적인 자연재해입니다.특히 우리나라도 이제는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기에, ‘지진이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에 대한 지식은 누구에게나 필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지진의 위험성은 알고 있지만, 막상 실제 상황이 닥쳤을 때 올바른 행동요령을 알고 실천하는 사람은 드문 것이 현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지진 발생 전·중·후 단계별로 해야 할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왜 행동요령이 중요한가?지진의 진동은 단 몇 초~수십 초 만에 끝나지만,그 짧은 시간 안에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릴 수 있습니다.2016년 경주 지진 당시, 많은 사람들이 엘리베이터를 타다가 갇히는 사고가 발생2017년 포항 지진에서는 무너진 가구에 깔려 부상당한 사례가 다수 보고..

지진학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