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위험도 2

우리 동네 지진 위험도 확인하는 법, 단층은 어떻게 알아보나?

지진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는 특성 때문에 더욱 무섭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지진에 대해 완전히 무력하지 않습니다.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지진 위험도를 알고, 단층 분포를 이해하며,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하면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누구나 우리 동네 지진 위험도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과 단층이 무엇인지, 어디서 정보를 찾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내 지역은 얼마나 위험한가? 지진 위험도 확인 방법국내에서는 행정안전부, 기상청, 국립지질자원연구원 등 공공기관들이 지진과 관련한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습니다.그중 가장 쉽게 접근 가능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상청 지진정보 포털 활용주소: https://www.weather.go.kr‘지..

지진학 2025.07.03

한반도는 왜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닐까?

과거에는 한국 사회 전반에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다”라는 믿음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처럼 판 경계에 위치한 국가들과 달리 지진으로 인한 대형 피해를 겪은 사례가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이제는 이 믿음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습니다.최근 10~20년 사이 한반도에서도 지진의 빈도와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지진에 대한 경각심과 내진 대비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지’, 지질학적 원인과 역사적 사례를 통해 짚어보겠습니다. '지진 안전지대'라는 인식, 어디서 비롯됐을까?대한민국은 세계적인 지진대인 환태평양 조산대(Pacific Ring of Fire)에서 떨어진 지역입니다.이 조산대는 전 세계 지진의 약..

지진학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