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규모 2

지진 진도와 규모의 차이, 왜 두 가지로 나뉘는 걸까?

지진 관련 뉴스를 보면 “규모 6.2, 진도 5”처럼 두 개의 숫자가 함께 표기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일반인에게 이 두 용어는 혼란스럽게 느껴지곤 합니다.겉보기엔 비슷한 의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지진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진도’와 ‘규모’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분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 실제 사례, 그리고 왜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규모란 무엇인가?규모(Magnitude)는 지진 발생 시 지각 내부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절대적인 양을 수치화한 것입니다.지진의 "힘" 혹은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낸다고 보면 됩니다. ▪ 대표적인 규모 측정법리히터 규모(Rich..

지진학 2025.07.02

지진, 리히터 규모 vs 모멘트 규모, 어떻게 다를까?

우리는 지진 관련 뉴스를 볼 때 종종 “규모 6.5의 강진 발생”이라는 표현을 접하게 됩니다. 이때 말하는 ‘규모’는 지진의 크기를 뜻하는데, 과연 이 숫자는 어떤 방식으로 측정되는 걸까요? 그리고 규모 6.5와 7.0의 차이는 단지 숫자 0.5의 차이에 불과한 걸까요?사실 지진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바로 리히터 규모(Richter Scale)와 모멘트 규모(Moment Magnitude Scale)입니다.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사용하는 원리와 정확도에 큰 차이가 있어요. 오늘은 이 두 규모의 차이를 알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지진의 ‘크기’와 ‘세기’, 무엇이 다를까?먼저 간단한 구분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지진을 표현하는 단어 중 ‘규모’와 ..

지진학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