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진도 2

지진 데이터는 어떻게 수집되고 분석될까?

우리는 뉴스를 통해 "규모 6.5의 지진 발생", "진원은 깊이 10km", "P파와 S파의 시간차 분석" 같은 표현들을 흔히 접한다. 단 몇 초 만에 지구의 깊은 속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 진원지, 진도, 여진 발생 가능성까지 분석해 전달하는 모습은 놀랍기만 하다. 하지만 이런 데이터는 단순한 감각이나 육안 관찰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진은 눈에 보이지 않으며, 빠르게 지나가 버리고, 예측이 어려운 현상이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보이지 않는 땅속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수치로 기록하며, 다시 이를 분석해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 걸까? 이번 편에서는 지진 데이터가 어떻게 수집, 전송, 처리, 분석되는지, 그리고 이것이 경보 시스템이나 지진 위험 예측, 건축 안전 규정 등에 어떻게 활..

지진학 2025.08.03

지진 진도와 규모의 차이, 왜 두 가지로 나뉘는 걸까?

지진 관련 뉴스를 보면 “규모 6.2, 진도 5”처럼 두 개의 숫자가 함께 표기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일반인에게 이 두 용어는 혼란스럽게 느껴지곤 합니다.겉보기엔 비슷한 의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지진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진도’와 ‘규모’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분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 실제 사례, 그리고 왜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규모란 무엇인가?규모(Magnitude)는 지진 발생 시 지각 내부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절대적인 양을 수치화한 것입니다.지진의 "힘" 혹은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낸다고 보면 됩니다. ▪ 대표적인 규모 측정법리히터 규모(Rich..

지진학 2025.07.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