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진대비 2

활단층 위의 도시들, 지금 이 순간도 움직이고 있다

도시가 움직인다는 말은 언뜻 모순처럼 들린다. 마치 콘크리트로 고정된 도심이 하루아침에 살아 움직일 리 없다는 확신이 우리를 안심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우리가 발 딛고 서 있는 땅 아래에서는 지금도 지각판이 움직이고, 단층은 긴장을 높이고 있다. 특히 ‘활단층’ 위에 놓인 도시라면 이야기는 훨씬 더 다급하다. 과거에 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다시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활성 상태’에 놓여 있으며, 그 위에 수백만 명이 살고 있다는 사실은 언제든 재난의 문이 열릴 수 있음을 뜻한다. 이번 글에서는 활단층의 개념과 그 위에 세워진 도시들이 지닌 지진 리스크, 그리고 우리가 그 속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준비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활단층”이란 무엇인가? 단층은 지구 내부 힘에 의해 지각이 끊기..

지진학 2025.07.23

지진의 활단층은 무엇이며 왜 위험한가?

지진의 ‘촉매’로 작용하는 지구 내부의 균열 지진은 단순히 땅이 흔들리는 현상 이상이다. 우리가 사는 지표면이 사실은 거대한 지각판들로 나뉘어 있으며, 이들이 서로 밀고 당기며 충돌하는 동안 지구 내부에는 서서히 엄청난 에너지가 축적된다. 그리고 이 에너지가 한계를 넘는 순간, 마치 팽팽히 당겨진 고무줄이 끊어지듯 지각이 단층을 따라 움직이며 지진이 발생한다. 이때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활단층’이다.많은 사람들에게 ‘단층’은 지질 시간대의 오래된 지질 구조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활단층은 이름 그대로 현재에도 움직이고 있는, 또는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 지질 구조다. 지진 발생의 대부분은 이러한 활단층을 따라 일어나며, 도시와 가까이 있는 활단층일수록 인명과 재산에 미치는 피해는 막대하다.이..

지진학 2025.07.06
반응형